리눅스 30주년 맞이 리누스 토발즈 인터뷰 번역 - 파트 2 | hacklog (sjp38.github.io)
- 성공을 위한 열쇠는 모른다. 행운, 타이밍, 옳은 시간. 옳은 장소에 있었기 때문에 성공했다.
- 거기 있을 때 겪을 문제중 간단한 문제는 기술적인 문제. 보통은 기술적인 해법이 존재하고, 종종 객관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
- 좋아하지 않는 사람, 당신을 좋아하지 사람과 소통해야하는 성격적인 문제를 해쳐나가야 함. 화났을 때는 생산적인 일을 하지 마라. (나도 잘못했다.)
- 개방적이어야 한다. 파벌을 만들면 외부 사람들은 참여하기 어렵다. 참여하기 위해 가입 할 필요없는 메일링 리스트롤 좋아하는 이유. 리눅스가 성공한 이유는 거대한 계획이 없고 개방적이어서.
- 같이 일할 사람끼리 좋아할 필요는 없지만 서로 믿을 수 있다는게 중요하다.
- 권환 위임, 글쓰기, 기타 스킬들은 계획에서 온 것이 아니었다. 각자의 자리를 찾은 것이었고 제어를 놓았다. 적당한 사람을 찾고 마이크로 매니징을 하지 않았다.
- 저널리스트 집안이라 읽고 쓰기에는 강점이 있었지만 대부분은 하면서 배웠고 어떤 것도 하루 아침에 된 것은 아니다. (리눅스 30년)
- 성공적인 프로젝트의 개발자 조차 일주일치 커피 비용만 벌지 않냐는 질문? 답은 없다. 커널은 이 부분에서는 자유로웠다. 순수한 사용자 기업들도 결국 기술지원을 원하거나 개발 프로세스에 참여하게 되었다. (일부 업체는 업스트림에 올리지 않지만 개선하는 회사들이 많다.)
- 리눅스는 FSF(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극단적인 반 상업적과 거리를 두었다.
- 첫 10년간은 리눅스와 관련된 직업을 갖지 않았는데 경쟁자가 아닌 중립적 관계자로 여겨지기 위함.
- 거대하고 능력있는 기술회사도 복잡한 기술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픈소스가 의미가 있음.
- 독촉하는 사용자와 거기에 의한 스트레스는 자리에서 벗어나 독서와 드라이브를 하면서 푼다.
- 휴가를 가는 동안도 랩탑을 챙긴다.
- 일년에 두번 스쿠버 다이빙을 하는데 이때는 일주일간 하루에 다섯번도 더 들어가고 이메일을 읽지 못하기도 한다. (5년간 세번)
- 다음 리눅스가 어떻게 될지는 모른다.
- 한 두개 릴리즈 (수개월) 이외에는 계획하지 않는다.
- 엔지니어로서는 세부사항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세부사항이 옳으면 나머지는 따라 온다.
- Git은 전반적인 설계를 했지만 이는 결속력있는 결과와 커뮤니티를 위한 설계 방향 지침이었다. 결과적으로는 (장기 계획은) 가장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 내가 그 결과를 관리해야하고 오늘 하는 일이 내일 큰 문제가 되지 않음을 분명히하는 것을 원한다.
- 오픈 소스 개발자가 되고 싶은 사람을 위한 조언은 없다. 10년간은 취미로 하고 더 이상 취미로 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하면 후원 문제가 해결되었을 것이다라는 답은 평범한 경우는 아니다.
- 핀란드에서 태어난 것은 행운이다. 완전히 무료의 세계적인 교육 시스템 아래 완전히 좋아하는 일을 자유롭게 고를 수 있다.
- 어느 회사 정책에도 속하지 않은 것에 본인도 행복하고 리눅스 파운데이션 참여 회사들도 행복하다.
- 핀란드는 기술 강국이었지만 (컴퓨터가 되기 전) 휴대전화에는 관심이 없었고 스타트업의 제안에 따라 미국으로 옴.
- 어린 아이가 있었지만 부부 모두 젊어 해보자는 심경.
- 날씨와 다양성은 좋지만 교육, 정치, 의료는 심각하다.
- 괜찮은 직장이 있으면 무시할 수 있고 자녀들은 핀란드어도 모르고 미국 사회에 속해있다.
- 금방 잊어버리는 사람인데 여가에 킨들로 무료 혹은 99센트 판타지와 SF를 막 읽고 잊어버린다.
- 독서는 휴식을 위한 것이니 뭘 읽을지 추천해 달라고 하지 말라.
- 다이빙을 위한 Subsurface도 다른 사람에게 위임했다.
- 곧 2차 백신 맞고 다이빙을 갈 것이며 그래서 패치를 보낼 수도 있다.
Detect language Afrikaans Albanian Amharic Arabic Armenian Azerbaijani Basque Belarusian Bengali Bosnian Bulgarian Catalan Cebuano Chichewa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Corsican Croatian Czech Danish Dutch English Esperanto Estonian Filipino Finnish French Frisian Galician Georgian German Greek Gujarati Haitian Creole Hausa Hawaiian Hebrew Hindi Hmong Hungarian Icelandic Igbo Indonesian Irish Italian Japanese Javanese Kannada Kazakh Khmer Korean Kurdish Kyrgyz Lao Latin Latvian Lithuanian Luxembourgish Macedonian Malagasy Malay Malayalam Maltese Maori Marathi Mongolian Myanmar (Burmese) Nepali Norwegian Pashto Persian Polish Portuguese Punjabi Romanian Russian Samoan Scots Gaelic Serbian Sesotho Shona Sindhi Sinhala Slovak Slovenian Somali Spanish Sundanese Swahili Swedish Tajik Tamil Telugu Thai Turkish Ukrainian Urdu Uzbek Vietnamese Welsh Xhosa Yiddish Yoruba Zulu
Afrikaans Albanian Amharic Arabic Armenian Azerbaijani Basque Belarusian Bengali Bosnian Bulgarian Catalan Cebuano Chichewa Chinese (Simplified) Chinese (Traditional) Corsican Croatian Czech Danish Dutch English Esperanto Estonian Filipino Finnish French Frisian Galician Georgian German Greek Gujarati Haitian Creole Hausa Hawaiian Hebrew Hindi Hmong Hungarian Icelandic Igbo Indonesian Irish Italian Japanese Javanese Kannada Kazakh Khmer Korean Kurdish Kyrgyz Lao Latin Latvian Lithuanian Luxembourgish Macedonian Malagasy Malay Malayalam Maltese Maori Marathi Mongolian Myanmar (Burmese) Nepali Norwegian Pashto Persian Polish Portuguese Punjabi Romanian Russian Samoan Scots Gaelic Serbian Sesotho Shona Sindhi Sinhala Slovak Slovenian Somali Spanish Sundanese Swahili Swedish Tajik Tamil Telugu Thai Turkish Ukrainian Urdu Uzbek Vietnamese Welsh Xhosa Yiddish Yoruba Zulu
Text-to-speech function is limited to 200 characters